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이 한국을 워킹 홀리데이 목적지로 선택하는 주된 이유는 한국의 긍정적인 이미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9월 25일, 한국관광공사(KTO)는 한국의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의 실태와 현실을 분석한 ‘K-워킹홀리데이: 왜 한국을 선택하는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한국노동부는 5월 2일부터 5월 14일까지 약 2주 동안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한국에 거주 중이거나 이전에 체류한 적이 있는 외국인 300여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한국을 워킹홀리데이 여행지로 꼽은 가장 큰 이유는 ‘긍정적 이미지’가 15.4%로 가장 높았고, 한국 문화를 체험하고 싶다는 생각이 12.1%, 외국인에게 안전한 나라라는 인식이 9.2%로 뒤를 이었다.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은 국가 간의 협약을 기반으로 하며, 젊은이들이 여행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일정 기간 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한국은 현재 호주, 캐나다, 일본 등 25개국과 워킹홀리데이 및 청소년 교류 협정을 맺고 있습니다.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워킹홀리데이(관광업, H-1) 비자로 한국에 입국한 워킹홀리데이 참가자 중 가장 많은 인원은 일본으로 34,656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만 10,721명, 프랑스 8,491명, 홍콩 4,609명, 독일 3,174명 순이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60.7%는 한국에 오기 위해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준비 기간을 보냈다고 답했으며, 46.2%는 6개월 이상 9개월 미만 체류 계획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체류 기간 동안 응답자의 43.3%가 한국을 여행했다고 답했으며, 당일 3.4회, 숙박 2.24회 등 평균 5.64회의 여행을 했다고 답했다.
당일치기 여행지로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는 서울 48.5%, 경기도 27.7%, 인천 12.3% 순이었고, 숙박 여행 상위 여행지는 부산 37.7%, 제주 17.3%, 경상북도 12.7% 순이었다.
워킹홀리데이 이전에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는 응답자는 22.6%로, 평균 2.84회의 방문이 있었다. 참가자들이 관심을 보인 한국 문화의 가장 인기 있는 측면은 한국 음식(16.4%), 한국 음악 12.5%, 한국 드라마(12.1%) 순이었다.
또한 한국에서 워킹홀리데이 참가자의 40.6%가 월 100만∼150만원(약 753∼1129달러)을 벌었고, 150만∼200만원의 소득이 33.2%, 50만∼100만원 사이인 사람이 18.3%였다.
월평균 지출액은 약 97만원으로 주거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3%로 가장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