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와 LigaChem Biosciences, ADC 개발을 위해 협력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가 항체-약물 접합체(ADC) 분야 협력을 위한 중요한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1월 9일에 발표된 이 발표는 두 회사 간의 파트너십에 있어 중요한 단계로, 올해 3개 이상의 ADC 프로젝트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리가켐바이오의 협업은 지난 2월 CDO(Contract Development Organization) 협약 체결과 함께 시작됐다. 이후 6월에는 자재이전계약(MTA)을 체결하여 ADC 개발에 대한 공동 노력을 더욱 공고히 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완공된 ADC 전용 의약품 생산시설에서 이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4개 층에 걸쳐 있는 이 최첨단 시설은 500리터 규모의 접합 반응기와 1개의 정제 라인을 갖추고 있어 ADC 기술 발전에 대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의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번 협약의 의의는 두 회사의 강점이 결합됐다는 데 있다.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선도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글로벌 ADC 약물 개발의 선두주자인 LigaChem Bio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ADC 시장을 공략하고자 합니다. ADC는 암세포에 특이적인 항체와 세포독성 약물을 결합한 표적 암 치료제의 일종으로, 암 치료의 효능을 개선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유망한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존 림 대표는 “리가켐바이오와의 협업을 통해 환자들에게 고품질의 ADC 약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이번 협업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어 “글로벌 ADC 신약개발 선도기업인 리가켐바이오와 글로벌 초일류 CDMO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역량을 결합해 우리나라 ADC 기술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김용주 리가켐바이오 대표는 “2025년부터 상당한 로열티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R&D 투자를 통해 5년 내 15개 이상의 임상파이프라인을 발굴하고 글로벌 ADC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라며 앞으로의 비전을 밝혔다. 그는 또한 “이번 협력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광범위한 CDMO 경험을 활용하여 파이프라인 개발을 가속화하고자 한다”며 파트너십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협력은 암의 유병률 증가와 보다 효과적이고 표적화된 암 치료법에 대한 수요에 힘입어 빠르게 진화하는 글로벌 ADC 시장을 배경으로 이뤄졌다. ADC는 종양학 연구의 유망한 분야로, 여러 ADC가 이미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았으며 더 많은 ADC가 임상 개발 중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