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해상 풍력 발전 프로젝트는 중국의 개입에 대한 조사에 직면해 있습니다.
한국 해상풍력발전 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의 맹공격에 대한 경고는 지난해 12월부터 터져 나왔다. 정부가 승인한 해상풍력발전 고정입찰사업 5곳(신안의, 영광 낙월, 완도 금일1·2호, 전라북도 고창) 등 5개 해상풍력발전 고정입찰사업의 주요 장비 공급업체가 중국 기업인 것으로 드러났다.
예를 들어, 전라남도의 364.8MW 영광 낙월 해상풍력 발전 프로젝트는 태국의 B.Grimm Power가 설계한 개발 컨소시엄이 주도하고 중국에너지공학공사(CEEC)가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보증합니다. 이에 따라 터빈은 덴마크의 베스타스(Vestas)가, 해저 케이블은 중국의 헝퉁 옵틱-일렉트릭(Hengtong Optic-Electric)이 공급하게 됐다. 마찬가지로 전라북도 고창에서는 터빈 공급업체가 중국의 MingYang Smart Energy로 선정되었습니다.
나경원 의원실 관계자는 “중국산 제품 사용을 결정한 영광 등 풍력발전단지의 장비 공급업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요청했지만 ‘사용 현황을 공개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에 국내 해상풍력단지에 사용되는 중국산 장비(터빈, 해저 케이블 등) 중 중국산 장비 사용 동향 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했다. 지난 5년간(2019-2024) 국내 장비 사용 현황. 그러나 교육부와 소속사는 “자료가 없다”고 답했다.
나 의원은 또 지난 5년간 중국 자본 유입 현황, 중국산 해저 케이블 관련 위험성 평가, 국내 중소기업 피해 규모 등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으나 프로젝트 검토 담당 기관으로부터 “모른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업계는 해저 케이블 부문에 대해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 해상풍력에서 생산된 전기를 육지로 송전하는 해저 케이블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해저 지형 정보가 필수적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해저 케이블을 사용하면 국내 해저 지도는 물론 해군 훈련장, 잠수함 이동 경로 등 민감한 군사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해저 케이블에는 감지 센서도 장착되어 있습니다. 케이블을 수리하거나 찾으려면 케이블의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은 사업추진업체 선정 시 중국이 설치한 해저케이블에 의한 통신도청이나 군사정보 유출 가능성과 관련된 위험성을 평가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은 2022년부터 시행된 정부의 풍력발전 ‘고정가격 계약 경쟁입찰제’에서 비롯되는데, 이 제도는 20년간 고정가격으로 전력공급을 보장하고 선정기준의 60%를 전력공급가격에 할당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지난 8월 전력공급가격 가중치를 현행 60%에서 50%로 낮추고, 국내 공급망과 안보 등 ‘산업경제 효과’의 가중치를 16%에서 26%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지만 우려는 여전하다. 중국 자본이 한국 기업으로 위장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중앙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과 정동욱 교수는 “정부가 국내 장비 활용을 장려해 국내 생태계를 육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2년 미국은 차이나모바일과 손잡고 캘리포니아와 동남아시아를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 프로젝트를 진행한 메타(구 페이스북)에 ‘중국 기업을 배제하라’고 요구했다. 마찬가지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해저 케이블 인프라 부문에서 중국의 화웨이(Huawei) 및 ZTE와 같은 ‘고위험 사업자’를 단계적으로 제거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나 의원은 “정부가 중국산 해저케이블 사용을 외면하는 것은 국가 기간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해야 할 의무를 소홀히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해상풍력발전 사업의 전반적인 운영을 재검토하고 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