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제약의 비만치료제 HM15275, 거대 제약사들의 관심 끌다
최인영 한미약품 연구개발(R&D)센터장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최 회장은 한미의 비만치료제 후보물질인 HM15275의 수출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지금 당장 비만치료제 후보물질인 ‘HM15275’를 수출할 수 있다면 언제든지 수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파트너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최 교수는 말했다. 이어 “비만 시장 진출이 늦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first-in-class’ 의약품으로 대형 제약사들의 관심을 많이 받고 있어 내부적으로도 성공을 확신하고 있다”며 비만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입지를 강조했다.
HM15275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트로픽 폴리펩티드(GIP) 및 글루카곤(GCG)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삼중 작용제입니다. 이 기전은 위고비(Wegovy)와 제프바운드(Zepbound) 등 다른 비만 치료제에서 볼 수 있는 근육 손실 부작용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최 교수는 “요요 효과를 예방할 수 있고, 근육량이 중요한 고령자에게도 투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제약은 2015년 사노피와 당뇨병 치료제 기술수출 5조원 계약을 체결했다가 반납한 경험을 바탕으로 치밀하게 협력사를 선정하고 있다. 최 대표는 이에 대해 “미국 정부가 인슐린 가격을 인하하면서 항암제가 우선순위가 됐고, 결국 당뇨병 치료제 기술을 되돌려 놓았다. 그렇기 때문에 끝까지 책임질 파트너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술수출의 핵심 조건은 한미약품의 국내 임상시험이다. 최 대표는 “7,000명에서 8,000명의 다국적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임상시험은 자본 제약으로 인해 어려운 과제이기 때문에 파트너가 필수적이다. 다만 국내 임상시험을 직접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의약품 주권’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약품은 올해 HM15275 대상으로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영권 분쟁으로 인한 R&D 역량 손상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 회장은 회사가 연구 노력에 전념하고 있다고 재확인했다. “제가 처음 센터장으로 취임했을 때 150명의 연구원으로 시작했는데 지금은 180명으로 늘었습니다. 경영권 분쟁에도 불구하고 연구 자금 지원은 한 번도 거부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또 mRNA, TPD, ADC 등 연구양식의 확대와 올해 연구예산 증액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연구 중인 양식의 수도 수치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올해 연구예산을 더욱 증액해 채용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덧붙이며 회사의 미래에 대한 일부 우려를 일축했다.
한미제약이 업계에서 쌓아온 역사와 명성, 그리고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에 대한 전략적 참여는 이번 발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HM15275와 같은 효과적인 비만 치료법의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만연한 비만과 이와 관련된 건강 위험을 감안할 때 공중 보건에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