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그룹 회장, AI와 전통 산업에서 중국의 지배력 경고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한국 기업들이 전통적 강점인 가전제품과 자동차뿐 아니라 급성장하고 있는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중국에 추월당할 수 있다고 엄중히 경고했다. 구 부총리는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센트럴홀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전시장을 둘러본 뒤 기자들과 만나 “한때 글로벌 리더였으나 이후 사라진 일본 전자기업들의 전철을 피하기 위해 한국 기업들의 소프트웨어 역량 대폭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구 대표는 “20년 전 중국에 살았는데, 당시에는 하이센스 TV를 사면 모든 것이 너무 조잡했기 때문에 채널을 바꿀 때마다 따로 볼륨을 조절해야 했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지금은 LG와 삼성과 동등하고, 하이센스 에어컨 같은 제품은 너무 세밀해서 LG가 걱정해야 할 정도다.” 그는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자동차 분야에서도 맹렬히 따라잡고 있다”며 “중국이 발표하는 AI 논문 수를 보면 미국보다 몇 배나 많다”고 덧붙였다. 현대차가 현재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지만 BYD와 같은 회사에서 나오는 차를 보면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의 발언은 중국 기업들의 급속한 기술 발전이 한국에 필적하는 수준에 도달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차별화가 없다면 한국 기업들이 최근 몇 년 동안 고전하고 있는 소니, 파나소닉, 도시바, 히타치 등 일본 전자기업들과 같은 길을 걸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중국 기업들의 하드웨어(HW) 기술은 흠잡을 데가 없지만, 여전히 하드웨어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니는 한국의 성공에 힘입어 바닥을 쳤고, 파나소닉, 도시바, 히타치는 실패했다. 삼성과 LG는 하드웨어에서 경쟁하는 대신 다른 길을 찾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 대표는 앞으로 경쟁의 비중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옮겨갈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시장을 보면 전 세계가 소프트웨어로 바뀔 것 같다”고 말했다. “우리도 변화의 방향을 따라가기 위해 필사적이어야 합니다.” 이번 방문에는 소프트웨어·IT 관련 관계자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접목한 사업 아이디어를 경연하는 LS그룹 차원의 행사인 ‘LS 퓨처데이’의 수상자도 동행했다. 수상자들은 구 대표와 함께 현장을 방문해 최신 AI 트렌드를 파악했다.
Koo는 다양한 비즈니스 기능 전반에 걸쳐 AI 통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생산과 구매부터 생산 품질과 판매에 이르기까지 AI 통합의 방향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재능 있는 소프트웨어 인력을 모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유능한 SW 인력을 모집하는 것은 어렵지만, 우리 사업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좋은 인재를 많이 모집해야 합니다.”
AI로 인해 산업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Koo는 뒤처지지 않기 위해 더 높은 긴급성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기업이나 학교의 스타트업을 보면 비슷한 아이디어로 차별화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B2B(Business-to-Business) 모델에 따라 어느 정도 보호된 환경에서 운영되는 우리 회사는 긴박감이 부족할 수 있지만 더 절박해져야 합니다.”
다양한 산업에 관심을 가진 한국의 대기업인 LS그룹은 주로 B2B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소비자 시장의 압력에 덜 노출될 수 있지만 성공을 위해서는 혁신과 경쟁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