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JPMHC 2025에서 혁신 및 성장 계획 공개
셀트리온은 1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MHC(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 메인 트랙에서 혁신적인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전략과 신약 개발 성과, 구체적인 향후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이로써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과 서진석 셀트리온 대표이사는 2년 연속 권위 있는 행사에 함께 참석했습니다.
이날 발표에서 서진석 대표는 2025년까지 11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겠다는 회사의 비전을 일찌감치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초 2025년까지 11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는 비전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항체 신약 개발에 대한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해 차세대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고 강조했다.
셀트리온은 올해 안에 4가지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을 시작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들 후보물질은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3종과 다중항체 신약 1종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는 지난해 World ADC에서 공개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CT-P70, 방광암 치료제 CT-P71 등 개선된 바이오베터 ADC가 있다.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ADC 9개, 다중항체 4개 등 총 13개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용 신약(IND)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 대표는 “주요 후보물질들이 전임상 단계부터 탁월한 개발 속도와 성과를 보여주고 있어 글로벌 신약기업으로의 도약이라는 목표가 빠르게 현실화될 것”이라며 회사의 행보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서정진 회장은 Q&A 세션에서 셀트리온의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파트너를 찾기 위해 CDMO를 선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업 및 투자와 함께 위탁개발(CDO)을 통한 생산을 지원하고, 위탁연구(CRO)를 통해 임상시험 및 승인을 지원하겠다는 회사의 계획을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올해 상반기 내 인천, 충청남도, 충청북도 지역에 10만 리터 규모의 CDMO 부지를 완공할 계획이다.
셀트리온홀딩스는 신약 개발 및 CDMO 추진 외에도 올해 4분기부터 대규모 인수합병(M&A)을 검토하고 있으며, 2년 후 미국 나스닥 상장을 계획하고 있다. 서 회장은 국내 건강기능식품 기업, 신약 개발에 필요한 기술 보유 기업 등 M&A 후보를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3분기나 4분기쯤 되면 국내 증시가 바닥을 극복하고 M&A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주회사가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할 것이며, 2027년 나스닥 상장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 회장은 나스닥 상장 계획 지연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한국 증시의 저평가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셀트리온홀딩스의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현재 한국 증시가 크게 저평가돼 있어 상장할 경우 손실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돼 계획이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