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K-뷰티 대기업 휴젤과 클래시스, JPMHC 2025에서 글로벌 전략 공개

에바 황 휴젤 최고재무책임자(CFO)가 1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MHC(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 2025 아시아태평양 트랙에서 이같이 밝혔다. 올해로 43회째를 맞이하는 JPMHC에는 휴젤과 미용 의료기기 기업 클래시스(Classys)가 공식 발표자로 초청돼 ‘K-뷰티(K-Beauty)’가 주목을 받았다.

휴젤은 2028년까지 독소 분야 80개국 이상, 히알루론산(HA) 필러 분야 70개국 이상, 화장품 분야 10개국 이상으로 입지를 확대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밝혔다. 휴젤은 올해 상반기 뷰티 톡스(beauty tox)의 미국 공식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3년 내 10%의 시장 점유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럽과 중국에서는 2027년까지 현지 독소 시장에서 20-25%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황 대표는 “입지와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차별화된 기업가치를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며 “국내 선도기업을 넘어 세계적인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클래시스는 미국 진출 및 유럽 시장 승인 및 Shurink Universe와 Volnewmer의 아시아 태평양 트랙 출시 계획도 발표했다. 백승한 클래시스 대표는 “올해부터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대시장을 공격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에서는 지난해 10월 볼뉴머 출시에 이어 올해부터 큰 매출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하며, 유럽에서는 슈링크유니버스와 볼뉴머의 유럽(CE) 의료기기 규정(MDR) 인증을 통해 확장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2030년 목표에는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과 50% 이상의 영업 이익률 달성이 포함됩니다.

휴젤은 보툴리눔 독소 제품 및 히알루론산 필러를 전문으로 하는 한국의 바이오 제약 회사로, 미용 의약품 산업에서 빠른 성장과 상당한 시장 입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확장을 위한 휴젤의 야망은 기술 발전과 시장 지위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적 노력을 반영합니다. “우리는 독소 및 충전제 분야에서 세계 3위, 아시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뷰티 및 화장품 회사 중 하나입니다”라고 Hwang은 강조했습니다.

슈링크 유니버스(Shurink Universe)와 볼뉴머(Volnewmer)와 같은 제품으로 유명한 클래시스(Classys)는 피부 타이트닝과 바디 컨투어링을 위한 비침습적 트리트먼트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매출 1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회사의 목표는 공격적인 확장 계획과 혁신에 대한 약속을 강조합니다. 유럽 의료기기 규정(MDR) 인증은 Classys가 유럽에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엄격한 안전성 및 효능 표준을 준수하도록 보장합니다.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는 헬스케어 업계에서 가장 크고 권위 있는 모임 중 하나입니다. 매년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는 이 행사에는 업계 리더, 신흥 고속 성장 기업, 혁신적인 기술 제작자 및 투자 커뮤니티 구성원이 한자리에 모입니다. 이 컨퍼런스는 기업이 최신 발전, 전략적 목표 및 재무 전망을 발표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Dong Woo

저는 아시아 타임즈 코리아의 캠페인 재정을 다루고 있으며, 억만장자와 그들이 글로벌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보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