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 국가인공지능컴퓨팅센터 구축을 위한 업무설명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서울 중구 뱅커스클럽에서 ‘국가인공지능컴퓨팅센터(National AI Computing Center)’ 구축을 위한 업무설명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2027년까지 GPU 기반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는 민관 파트너십의 시작을 알렸으며, 최대 예산은 2조5000억원이다. 이 이니셔티브는 국내 AI 생태계를 강화하고 한국을 AI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정부 전략의 일환입니다.
이날 브리핑에는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등 주요 IT기업 임원과 외국계 기업, 금융·투자 분야 대표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이러한 업계 거물들의 존재는 이 프로젝트가 국내 및 글로벌 AI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강조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기업은행, 한국전력공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과 함께 이 야심찬 사업에 대한 기업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National AI Computing Center 프로젝트는 민간 부문이 49%의 지분을 보유한 합작 투자입니다. 이 구조는 대규모 인프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활용하고 정부 지원과 민간 부문의 전문 지식 및 투자를 결합하는 광범위한 추세를 반영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월 28일까지 참가의향서를 접수한 뒤 기업들에게 입찰 가이드라인을 전달해 정식 입찰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설명회에서는 프로젝트의 주요 추진 내용, 신청 자격, 절차, 전력 시스템 영향평가 신청 방법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제공되었습니다. Q&A 세션을 통해 잠재적 참가자가 자신의 질문을 명확히 할 수 있어 투명성이 보장되고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할 수 있었습니다.
이 이니셔티브의 시급성은 미국과 중국과 같은 국가가 경쟁을 주도하는 글로벌 AI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주도됩니다. 한국 정부는 2027년까지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완전 개설하는 등 올해 안에 일부 인프라 기반 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National AI Committee) 산하의 ‘인공지능 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AI Computing Infrastructure Special Committee)’는 이러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관련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정책국장은 “국가인공지능컴퓨팅센터로 대표되는 첨단 인프라에 우수한 인재와 소프트웨어 혁신이 더해지면 우리나라는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며 사업의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국가인공지능컴퓨팅센터의 성공을 위해서는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민간과 정부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프로젝트는 강력한 AI 생태계를 육성함으로써 기업과 연구원을 지원하고, 혁신을 장려하며, AI 연구 개발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GPU 기반 AI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관심은 특히 중요한데, 이는 GPU가 빠르게 발전하는 AI 분야에서 필수적인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