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LG전자, 가정용 휴머노이드 시장 선도 비전 공개
LG전자가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CM) 전시회 ‘CES 2025’에서 가정용 휴머노이드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은 최근 엔비디아(Nvidia)가 휴머노이드 개발을 위해 설계된 개방형 인공 지능(AI) 솔루션을 공개한 데 이어 기업들 사이에서 새로운 로봇 제품 출시를 위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LG전자는 로보틱스 사업에서 방향성을 명확히 정립해 신흥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8일(현지시간)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가 기자회견을 열고 나섰다. 그는 “로봇 사업이 확실한 미래라고 판단해 준비하고 있다”며 “베어로보틱스에 대한 추가 지분 투자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우리는 항상 가정 영역을 선도해 왔으며 집이 주요 무대이기 때문에 가정용 휴머노이드 및 가정용 로봇과 같은 개념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는 “미래 휴머노이드를 위한 연구개발(R&D)을 통해 기술적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CES는 특히 엔비디아 CEO 젠슨 황(Jensen Huang)의 기조 연설로 인해 로보틱스 산업에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젠슨 황은 현실 세계의 물리 법칙을 통합한 AI 개발 솔루션인 ‘코스모스(Cosmos)’를 소개해 로봇 개발 과정을 대폭 단축했다. 이 혁신은 이 분야의 발전을 저해했던 시각적 데이터와 대규모 AI 모델을 보호해야 했던 이전의 문제를 해결합니다.
김병훈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로봇 개발의 가장 큰 제약은 인터넷이라는 가상 세계의 방대한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실제 데이터로부터 학습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현실 세계의 물리적 행동을 이해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디지털 트윈 개발 도구의 등장으로 우리는 휴머노이드 개발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었습니다.”
조 부총리는 갈수록 위협적으로 변하고 있는 중국 가전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위협을 인식하는 단계였다면 이제는 대응을 실행하는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 우리는 기술 및 제품, 비용 및 운영 분야에서 상세한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조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동안 예상되는 불확실한 비즈니스 환경으로 인한 도전들을 인정했다. 그는 고율 무역정책이 어려워지고 LG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전기차 부품 시장이 2∼3년 늦춰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진행 중인 LG전자 인도법인의 국내 시장 기업공개(IPO)와 관련해 조 대표는 제품 판매와 투자 모두에서 강력한 추진력을 시사했다. 그는 “인도는 TV를 포함한 모든 가전제품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시장이다. 에어컨 및 세탁기와 같은 분야에서 여전히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우리는 인도 인재를 활용하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공장 수를 늘리고 현지 인재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IPO가 4월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조조영 사장은 최근 발생한 지난해 4분기 실적 쇼크에 대해 “좋은 수치를 보여주지 못해 죄송하지만 회사의 펀더멘털은 무너지지 않았다. 성장률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실적 부진은 일회성 영업 외 활동으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반기 수익성 부진의 계절적 추세를 균형 잡힌 사업거래와 지역별 사업 운영을 통해 완만하게 해내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