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회장 겸 엔비디아 CEO, CES 2025에서 HBM과 물리 AI에 대해 논의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CES 2025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고대역폭메모리(HBM)의 발전과 새로운 물리 AI 분야에 대해 논의했다. 8일(현지시간) 열린 이번 회동은 AI 반도체 업계의 두 주요 인사 간 협업에서 중요한 순간이 될 전망이다.
CES 2025 SK 부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최 대표는 황 대표와의 면담에서 얻은 소감을 밝혔다. 최 대표는 “오늘 황 대표를 만났다”며 두 사람의 논의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회담은 세간의 이목을 끄는 행사를 주최하는 것으로 알려진 라스베이거스의 퐁텐블로 호텔에서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최 회장과 젠슨 황 부사장은 9개월 전인 지난해 4월 엔비디아 본사에서 마지막으로 만났습니다. 그 이후로 HBM 기술 개발에서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습니다. “지금까지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는 엔비디아의 요구사항이 고도화되는 속도에 비해 약간 뒤처져 있었기 때문에 상대방(엔비디아)은 HBM의 개발 속도를 요구하고 있었습니다. 최근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가 이러한 요구를 뛰어넘고 있다”고 최 부사장은 설명했다. 이러한 발전은 SK 하이닉스의 혁신에 대한 헌신과 진화하는 업계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최 교수가 설명한 이 전략은 양사가 AI 반도체의 경쟁 구도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개발 속도를 높이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전략은 양측이 개발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HBM과 관련하여 제기된 주제입니다”라고 Chey는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이 전략은 반도체 산업에서 기술 발전의 역동적이고 빠르게 진행되는 특성을 강조합니다.
HBM에 대해 논의하는 것 외에도 Chey와 Huang은 CES 2025의 주요 주제인 물리적 AI의 잠재력에 대해서도 탐구했습니다. 최 교수는 “이번 CES는 로봇이나 우리 주변에 내장된 AI와 같이 흔히 물리적 AI라고 부르는 것이 보편화되고 정상화되었음을 확인시켜준다”고 말했다. AI를 물리적 장치 및 환경에 통합하는 것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으며, 두 리더 모두 이 분야에서 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최 대표는 “황 대표와 물리 AI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고, 구체적인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지만 앞으로 함께 시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논의를 했다”고 덧붙였다.